Monday, March 15, 2010

NATO Head Urges Creation of Missile Shield

http://www.globalsecuritynewswire.org/gsn/nw_20100315_9193.php

"We must develop an effective missile defense," Rasmussen said during a conference in Warsaw."In the coming years we will probably face many more countries and possibly even some nonstate actors armed with long-range missiles and nuclear capabilities."

Thursday, March 11, 2010

Kim Jong-il's personal shopper reveals how the North Korean leader lives in luxury

http://www.telegraph.co.uk/news/worldnews/asia/northkorea/7418727/Kim-Jong-ils-personal-shopper-reveals-how-the-North-Korean-leader-lives-in-luxury.html

A North Korean colonel has revealed that he spent two decades going on lavish shopping sprees in Europe for his country's leaders, while ordinary people starved to death in the impoverished nation.

By Malcolm Moore in Shanghai
Published: 7:00AM GMT 11 Mar 2010

Kim Jong Ryul, 75, has spent the last 16 years in exile in Austria after fleeing North Korea and still fears for his life. In a new book, At the Dictator's Service, he recounts the luxury in which North Korea's leaders live.

Using the code name Emil, Kim travelled through Europe on a diplomatic passport and with a suitcase full of cash, procuring cars, planes, guns and special food for both Kim Il-sung and his son, Kim Jong-il.

The goods and money would be channelled through Vienna, to take advantage of banking secrecy, lax trade rules and minimal checks on aircraft.

Mr Kim said the North Korean leaders had dozens of villas, some of which were built underground, that were stuffed with chandeliers, silk wallpaper and expensive furniture. He said some of the villas were equipped with special ventilation systems in case of a nuclear attack.

He said Kim Il-sung would "only eat foreign food". He added: "In Vienna, there was a special attache, a friend of mine, who only procured special foreign food for the dictator." Troupes of chefs would be sent from North Korea to Austria to study how to cook.

"'Learn everything!' that's what they were told," revealed Mr Kim "The crazy dictators heard rumours that Austrian cuisine was world famous and that's why they wanted (the cooks) to come here." He also said that despite public denunciations of Western imperialism and decadent culture, the ruling family has an extensive car collection including models from Mercedes, Fords, Cadillacs and Lincolns. A special Romanian secret service contact helped procure hunting rifles and even a light Cessna aeroplane. Other devices that made their way to Pyongyang included heartbeat monitors that could detect people hiding behind walls and gold-plated pistols.

Meanwhile, said Mr Kim, the general population of North Korea were starving. The former army man said it was this injustice that drove him to fake his death in 1994 and begin a new life in Austria.

Although he initially hoped for regime change, he admitted that Kim Jong-il's rule was unlikely to end soon. "It is unthinkable," he said.

Having revealed his secrets, Mr Kim said that he could now "die with a clean conscience".

‘김정일 비자금관리인’ 이철, 30년 만에 스위스 떠난다는데…

제네바 대사 이달 말 이임說
“고령 감안” “후계 관련” 분분

http://news.donga.com/Politics/New/3/00/20100311/26763609/1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최측근인 이철 주제네바 북한대표부 대사(75·사진)가 30여 년의 스위스 생활을 마치고 이르면 이달 하순 이임할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스위스 베른의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이 대사가 교체될 것이라는 소문이 현지 외교가에 널리 퍼졌으며 그 배경을 놓고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 관계자는 “스위스 주재 외교관 중 최장수인 이 대사의 이임 소식에 각국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이 대사의 이임 시기가 수주일 내가 될지, 한두 달 정도 더 걸릴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 대사는 1980년 제네바 주재 북한대표부 공사로 부임하며 제네바와 첫 인연을 맺었고, 북한이 유엔에 가입하기 전인 1987년부터 제네바 유엔사무국 주재 상임대표부 대사로 활동했다. 1998년부터는 주스위스 대사를 겸임해 왔다.

이 대사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비자금 관리인’으로 알려진 데다 김 위원장의 세 아들인 정남(39) 정철(29) 정은 씨(27) 등이 모두 스위스에서 국제학교와 공립학교를 다닌 점 때문에 ‘측근 중의 측근’으로 알려져 왔다. 또 고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위원장 등 북한 최고위층의 지병 치료를 위해 1991년부터 프랑스 의료진을 연결시키는 데도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보도됐다.

2006년 4월에는 크리스토퍼 힐 당시 미국 국무부 차관보가 서울에서 북한이 스위스에 40억 달러를 비밀리에 예치하고 있다고 발언한 사실이 보도되자 ‘공화국의 영상(이미지)을 손상시키기 위한 미 행정부의 상투적인 모략’이라며 강하게 반발하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스위스 주재 각국 외교관 가운데 최장수인 이 대사의 교체 배경을 놓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올해 75세의 고령이라는 점이 감안된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지만 북한 내부의 권력승계 문제와도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

Monday, March 1, 2010

Syria Received North Korean "Yellowcake" Uranium, Report Says.

http://www.globalsecuritynewswire.org/gsn/nw_20100301_3546.php

Forty-five tons of yellowcake could be converted into 196 to 287 pounds of bomb-grade uranium, according to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President David Albright.
"In any case, 45 tons of yellowcake is enough for several nuclear bombs," he said (Kyodo News/iStockAnalyst.com, Feb. 28).

Friday, February 26, 2010

[Around the World] 클린턴 "남아共이 북한산 무기 압류" 확인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2/26/2010022600120.html

"北 2004년 美핵전문가에게 플루토늄 공개"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2/26/2010022600254.html

'햇볕 중독증' 못 벗어난 北

③ 월드컵 공동 응원, 식량 5만t 달라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2/26/2010022600162.html

급물살 '월드컵 남북 이벤트' 北의 돌출 요구에 물건너 가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의 표정이 요즘 계속 어둡다. 세종시 논란 등 정치 현안도 현안이지만 '축구인'으로서 의욕적으로 지원하던 남북 공동 응원단과 남북 축구 교류전 등 일련의 '월드컵 남북 이벤트'가 사실상 무산됐기 때문이다. 민간 단체들은 오는 6월 개최되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에 사상 처음으로 남북 축구가 동반 진출한 것을 기념하는 차원에서 '남북 공동응원단' 구성을 추진해왔다. 대통령 자문기구인 민주평통도 이를 공식 건의사항에 포함시키는 등 분위기를 띄웠다. 이에 국제축구연맹(FIFA) 부회장, 대한축구협회 명예회장을 겸하고 있는 정 대표도 공동 응원단 파견과 관련해 통일부 등의 지원을 요청하는 등 가능성을 타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정 대표는 월드컵이 열리기 전에 서울과 평양을 오가는 남북 축구 교류전을 여는 방안을 축구협회 등과 논의했고, 평양에 실무 협상단을 파견하는 방안까지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한측이 남북 공동 응원단과 관련, 민간 루트를 통해 "응원단 전원의 항공료, 현지 숙식비와 별도로 식량 5만t을 지원해달라"고 요구하면서 일이 어려워졌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대가를 지불하는 식의 남북 교류에 대해 정부가 부정적인 입장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남북 정상회담 등의 '빅 이벤트'를 앞두고 찔끔찔끔하는 식의 남북 교류에도 소극적이어서 공동 응원단과 남북 축구 교류전 등은 사실상 물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 관계자는 25일 "향후 남북관계 상황 및 민간 단체의 여건 등을 고려해 검토하겠지만, 현 시점에서는 물리적으로 힘들다고 봐야 한다"고 했다.

정 대표는 최근 한 모임에서 남북 축구행사를 의욕적으로 추진하다가 벽에 막힌 것에 대해 상당히 낙담해 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한나라당 일각에서는 "남북 축구 이벤트가 성사됐을 때 그 후광효과를 '정치인 정몽준'이 누리게 되는 것을 견제하는 움직임이 있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