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September 27, 2009

Friday, September 25, 2009

“1970년대초 南北정권 ‘적대적 공생관계’ 입증”

Park Cung-Hee's Lee and Kim Il-Sung
【1】 1972년 평양에서 2차례 열린 비밀회담에서 만난 김일성 당시 북한 내각수상(오른쪽)과 이후락 중앙정보부장. 【2】 1972년 7·4남북공동성명의 내용을 발표하는 이후락 부장. 【3】 7·4남북공동성명의 합의사항을 추진하기 위해 1972년 11월 4일 평양에서 열린 제2차 남북조절위원회 공동위원장 회의가 끝난 뒤 합의서를 교환하고 있는 이후락 부장(왼쪽)과 박성철 북한 내각 2부수상. 뒷줄 왼쪽부터 최규하 당시 청와대 특별보좌관, 장기영 전 부총리. 동아일보 자료 사진

http://www.donga.com/fbin/output?f=a_s&n=200909250093&main=1

北외교문서로 드러난 남북접촉… 전문가들이 본 의미
“국제정세 급변속 남북대화를 권력강화에 활용
朴정권, 유신에 대한 北 오해 살까봐 사전통보
北도 유신 두달뒤 헌법 바꿔 ‘수령절대체제’로”

《박정희 정부가 1972년 10월유신을 선포하기 전 두 차례에 걸쳐 이를 북한에 예고했다는 내용 등을 담은 동유럽 외교문서들은 남북 관계사의 이면을 규명하는 중요한 사료(史料)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학계는 당시 남북한이 모종의 사전 교감을 가졌을 것으로 짐작해 왔지만 구체적인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고 있었다.

南 “1시간뒤 비상사태 선포… 잘 들어보라” 北에 전화통보
北 “7·4성명은 대남혁명을 위한 평화공세”

이번에 발굴된 문서들은 남북관계뿐만 아니라 1970년대 초반 북한 및 남한 현대사의 서술 작업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1971년 이후 대화를 진전시켜온 남북한 정권은 당시 은밀한 교감을 통해 분단 이후 가장 가까운 관계에 이르렀던 것으로 보인다. 그 바탕 위에서 남한은 통일과 남북관계를 명분으로 박정희 대통령의 독재정치를 강화하는 새로운 역사를 시작했다.

문서들은 우선 1970년대 초 남북한이 대화에 나설 수밖에 없었던 원인에 대한 국제정치나 국내정치 차원의 규명 작업에 훌륭한 자료를 제공한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류길재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1970년대 초반 급변하는 국제정세(동서양 진영 간 데탕트) 속에서 북한은 중국을, 남한은 미국을 절대적으로 믿지 못하는 비슷한 처지에 처했다”며 “두 나라는 남북대화와 독재 권력의 공고화라는 비슷한 형태로 대응했다는 사실이 문서를 통해 확연하게 드러났다”고 말했다. 강규형 명지대 교수는 “문서들은 서로 대립하면서도 서로를 이용해 자신의 권력을 강화했던 김일성, 박정희 정권의 ‘적대적 공존관계’를 입증하는 귀중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남북한 당국은 국제정치 환경의 변화에 따른 남북대화와 통일논의를 각자 자신의 권력 강화에 최대한 활용했다.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은 10월유신 선포 하루 전인 16일 김영주 노동당 조직지도부장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질서가 먼저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가 말한 ‘질서’란 박 대통령이 선거와 야당, 언론에 휘둘리지 않고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강력한 독재구조였다. 북한도 두 달 뒤인 같은 해 12월 새 헌법을 만들어 김일성 당시 내각수상을 주석으로 추대하고 ‘수령 절대주의 체제’를 강화했다는 점에서 남북은 같은 길을 걸었다.

홍석률 성신여대 교수는 “당시 박정희 정권은 유신체제 수립의 명분으로 남북대화와 통일을 제시했기 때문에 북한의 오해로 남북대화가 끊어지는 것을 우려했던 것”이라며 “박정희 정권에 남북대화의 유지는 유신체제를 안착시키는 수단이었다는 점이 이 문서들을 통해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남한이 북한에 10월유신을 예고한 것은 박 대통령의 재가를 받은 이후락 부장의 행위가 분명하다는 점에서 문서들은 1970년대 남북대화에서 이 부장 개인의 역할을 더욱 부각하는 사료라는 평가도 나온다. 우드로윌슨센터와의 문서발굴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신종대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개인적인 위험을 감수하고 북한을 방문해 7·4공동성명을 이끌어낸 이 부장이 10월유신에 대한 북한의 오해로 남북대화가 끊어질 것을 우려해 사전에 알려준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이 부장이 스스로 박 대통령의 2인자라고 생각했으며 남북대화라는 업적을 통해 정치적 야망을 키웠던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당시 평양 주재 동독과 불가리아대사관이 본국에 보고한 문서에 따르면 이 부장은 북측과의 대화에서 북측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종종 과감한 양보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1972년 10월 12일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조절위원회 위원장회의에서 남측 위원장이던 이 부장은 박 대통령이 “자유민주주의에 기초한 통일”을 언급한 것을 북측이 따져 묻자 “그 표현은 언론인들이 넣은 것”이라면서 남측의 실수임을 인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 1971년부터 겉으로는 대남 평화공세를 폈지만 속으로는 남한 정권의 국내외적 고립과 내부의 혁명 역량 강화를 통한 적화통일을 노렸다는 사실도 북한의 진술을 통해 확인했다. 신 교수는 “당시 박 대통령과 정책결정 라인에 있었던 정부 당국자들이 북한 평화공세의 의도와 배경 등에 대해 비교적 정확하게 꿰뚫고 있었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평가했다. 서재진 통일연구원장은 “북한은 국내외 정세가 불리하다고 판단할 때 과감하게 평화 공세를 펴 왔다”며 “최근 북한이 미국과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에 유화 공세를 펴는 것도 당시 상황과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북한이 대외 정세를 오판 또는 왜곡했던 흔적도 이번 문서에 드러났다. 서 원장은 “남한 주민들이 7·4공동성명에 환호하면서 ‘김일성 만세’를 외치고 있다는 대목과 남측이 적십자회담을 판문점에서 열자고 한 것이 서울에서는 눈물을 흘리며 (북측 대표단을) 환영하는 사람들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해석한 부분 등은 남한 정세에 대한 무지 또는 의도적 왜곡”이라며 “김일성 수상을 기분 좋게 하려는 사실 왜곡이 역설적으로 지도자의 판단을 흐렸고 지금도 북한 지도부 내에서는 같은 상황이 계속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신석호 기자 kyle@donga.com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Copyright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Thursday, September 24, 2009

`N. Korea Informed Twice of 1972 State of Emergency

http://www.wilsoncenter.org/topics/docs/InterKoreanRels_EnglishCoverage.pdf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in 1972 told North Korea twice of the
dissolution of the South Korean parliament and the state of emergency that
ensued, scholars in the U.S. said yesterday.
Since 2006, the center has conducted the North Korea International
Documentation Project with the 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in Seoul,
and translated into English 39 documents on the North written between 1971
and 1972.
The documents were exclusively obtained by The Dong-A llbo.
The administration that year declared a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state of
emergency, suspended the Constitution, disbanded parliament, and adopted an
indirect presidential election system.
This finding was announced yesterday by the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a U.S. government think tank, through analysis of diplomatic documents
of former Soviet republics that were kept in the former East Germany, Romania
and Bulgaria.
The North had announced an inter-Korean joint statement July 4 that year,
saying reunification can achieved by the three main principles of independence,
peace and unity

Pyongyang later told its communist allies in Eastern Europe that the statement
was a tool to reunify the Korean Peninsula by strengthening internal power,
inciting a revolution in South Korea, kicking out the U.S. and Japa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solating the Park administration.
Kim Jae Pong, then a deputy director at the North’s Foreign Ministry, told
diplomats from six Eastern European nations on Oct. 19, 1972, “Representatives
from North and South Korea held talks Oct. 16 at Panmunjom, a border reg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South informed us over the phone at 6 p.m., an
hour before the announcement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that President
Park Chung-hee will announce a state of emergency on the radio and asked us to
listen carefully.”
The diplomatic documents describe the conversations the two Koreas had after
1971 before and after the amendment was passed. Pyongyang’s intent on the
peaceful reunification approach confirms the view of conservatives that the
North supports dialogue on the surface but aims to communize the Korean
Peninsul

Park Chung-hee regime pre-notified N. Korea of 1972 martial law imposition: document

http://www.wilsoncenter.org/topics/docs/InterKoreanRels_EnglishCoverage.pdf

SEOUL, Sept. 24 (Yonhap) -- South Korea's Park Chung-hee government pre-informed North
Korea that it would impose martial law south of the border in the early 1970s, Eastern European
dossiers acquired by a U.S. think tank said.

The documents, translated and made public by the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are the first to show that Park's authoritarian regime sought to assure Pyongyang that its move -- which granted the South Korean leader near-dictatorial powers -- did not
mean to "offend" North Korea and would rather "guarantee the peaceful dialogue."

Park, who seized power in a military coup in 1961, declared martial law on
Oct. 17, 1972, dismissing the parliament and suspending the Constitution.
His government revised the Constitution later that year to lift term limits on
his presidency.
According to the Bulgarian foreign ministry that filed part of the dossier,
South Korea twice notified the North's Kim Il-sung government of its
imminent announcement of martial law; a day before the announcement and
again one hour earlier.
For the first notification, South Korea called a meeting at the truce village
of Panmunjom and said "some measures" were inevitable to root out
opponents of reunification.
A South Korean representative, whose name was not mentioned in the
document, "said that Park Chung-hee and Lee Hu-rak desire the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but they have many opponents. That is why
some measures were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order in the
country," the document said.
Lee was the president's special envoy who facilitated an inter-Korean
reconciliatory statement in July that year.
The representative further explained "a statement" will be announced the
following day. North Koreans quoted in the dossier said he "asked it be
listened to carefully on our (the North Korean) part.

One hour before the decree was announced, South Korea again informed
the North "by telephone that at 19 o'clock an 'Emergency Statement' from
Park Chung-hee would be released on the radio, and they asked that we
listen to it," according to the North Koreans.
A day after the martial law was imposed, the two Koreas met again. Asked
by North Korea to explain, the South Korean representative said "strong
opposition" forces prompted the Seoul government to invoke martial law so
that it could modify the Constitution "without chaos and disorder in the
country."
The representative added that Park's emergency statement had "no points
that affected or offended the DPRK (North Korea)" and a new Constitution
would "guarantee the peaceful dialogu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Park earlier revised the Constitution in 1969 to allow himself to run for a
third term. By declaring martial law and revising the Constitution again in
1972, he removed term limits on his presidency. He was assassinated by his
chief intelligence officer, Kim Jae-gyu, in 1979.
Some opposition leaders have claimed the Park regime used the cause of
reunification as an excuse to permanently rule the country, but the claims
had not been substantiated.
Also in the early 1970s, North Korea launched extensive diplomacy toward
its communist allies in East Europe as it was improving relations with the
South. North Korea invited ambassadors from Eastern Europe in 1972,
saying its "peace offensive" toward South Korea's Park government was
aimed at precluding U.S. and Japanese influence on the South and
eventually achieving reunification, according to the document
Kim Il-sung also sent Jeong Jun-taek, vice-premier of the Cabinet, to
Romanian President Nicolae Ceausescu, in September 1972, saying the
North has no intention of invading the South.
"If we start a war in South Korea, it can turn into a world war," Kim said,
according to records filed by the Romanian foreign ministry. "What should
we do? Taking the current situation into account, we thought the best thing
to do is to launch a peaceful offensive."
In talks with Ceausescu a year earlier, 1971, Kim Il-sung argued North
Korea had to seize a U.S. military ship, USS Pueblo, three years earlier
because it had illegally entered its territory. The U.S. ship is now displayed
along the main river in the North Korean capital. Washington has called for
its return.
If Americans "create situations like Pueblo ... then we are entitled to
capture them or to shoot them down. We keep our business to our territory,
we don't do it in the water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Kim said.
hkim@yna.co.kr
(END

"유신은 통일 위한 비상조치" 북한에 사전통보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647869

박정희 정부가 장기집권의 막을 열었던 10월 유신을 선포하기 직전에 북한에 이를 사전 통보했다는 내용이 담긴 동구권 국가들의 외교문서가 공개됐습니다. 박정희 정부는 "유신은 통일을 위한 비상조치"라고 북한에 설명했습니다.

안정식 기자입니다.

[대한뉴스(1972년) : 우리 역사에 길이 남을 유신헌법의 확정과 유신 헌정의 출범은 1972년의 가장 거대한 작업 중의 하나였습니다.]

계엄선포와 국회해산 대통령 간선제 등을 골자로 하는 유신체제가 발표되기 하루 전인 1972년 10월 16일, 이후락 당시 중앙정보부장 명의의 메시지가 북한에 전달됐습니다.

"박정희 대통령과 김일성 내각 수상이 권력을 잡고 있는 동안 어떤 일이 있어도 통일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남한 정부에 대한 반대세력이 많아 질서를 세우기 위한 비상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통보했습니다.

이튿날 유신 선포 1시간 전에도 박정희 정부는 북측에 전화를 걸어 유신 선포계획을 다시 한 번 알려줬습니다.

유신 선포 다음날에는 남측의 제의로 남북 접촉도 이뤄졌습니다.

남측은 이 자리에서 "유신은 북한을 공격하려는게 아니라 남북대화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체제"라고 설명했습니다.

박정희 정부가 유신으로 절대권력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북한에 이를 미리 알려줬다는 사실은 지금까지 묻혀 있던 현대사의 이면입니다.

이런 사실은 미국의 싱크탱크인 우드로윌슨센터가 옛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북한 관련 외교문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밝혀졌습니다.


최종편집 : 2009-09-24 20:46

이후락 “합작이란 말 中공산화 연상되니 뺍시다”

http://news.donga.com/3/all/20090924/8783352/1

1972년 비밀회담 어떤 말이

이후락 南중앙정보부장 “남북화해가 공산주의자 체포만큼 중요해”
김일성 北내각수상 “李부장은 용기있는 사람, 훈장을 주고싶다”

미국 우드로윌슨센터가 공개한 외교문서 중 1972년 7·4남북공동성명을 전후해 2차례 만난 김일성 당시 내각 수상과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의 비밀회담 대화록은 그동안 국내 잡지 등에 간헐적으로 소개된 적이 있지만 이번에 처음 영어로 번역됐다.

1972년 5월 4일의 첫 회담에서 김 수상은 통일 3원칙(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을 강조했고 이 부장은 이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맞장구쳤다. 이 부장은 박 대통령과 자신이 자주적으로 통일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김 수상은 박 대통령과 자신이 공통의 기초를 갖고 있다고 화답했다. 이 부장은 11월 3일 두 번째 회담 말미에 “박 대통령과 김 수상의 철학이 거의 비슷하다. 생각의 주제가 거의 같다”고 말했다.

김 수상은 2차 회담에서 남북은 분단돼서는 안 되며 한쪽이 벗어나면 배신자로 낙인찍힐 것이라면서 남북은 유엔에 따로 가입하지 않을 것이고 남한 단독으로 가입하려 하면 북한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김 수상은 회담에서 남북 합작사업에 집착을 보였다. 2차 회담에서는 경제합작으로 시작해 문화, 스포츠, 정치합작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 부장은 차근차근 풀어가야 한다고 답했다. 이 부장이 ‘합작’이라는 단어에 거부감을 보였기 때문이다. 대화록에는 이 부장이 “남한에는 합작이라는 단어가 없습니다”라고 말했다고만 돼 있다. 하지만 이번에 공개된 평양 주재 동독대사관의 보고서(1972년 11월 9일자)에 따르면 이 부장은 ‘합작’이라는 용어가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 사이에 이뤄졌던 합작과 용어가 같고 결과적으로 중국이 공산화됐기 때문에 합의서에 포함시키지 말 것을 요구했다.

두 사람은 2차 회담에서 ‘대결’이라는 용어를 두고 논쟁을 하기도 했다. 김 수상이 대결은 서로 경쟁하는 것이고 경쟁은 승자와 패자를 낳는 것이지만 남북은 누가 이기고 질 수 없는 관계라고 지적하자, 이 부장은 남한에서 대결은 승패와 관련돼 있는 것만이 아니고 최선을 다해 성공적인 결과를 내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의미가 아니라고 설명했다.

회담에서 김 수상은 이 부장을 “용기 있는 사람” “진정한 영웅”이라고 치켜세웠다. 당시 회담 분위기를 상징적으로 반영하는 대목이다. 이 부장은 자신이 공산주의자를 체포하는 일을 했다고 소개한 뒤 “남북 화해가 공산주의자 체포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해 평양을 찾았다”고 말했다. 김 수상은 “이 부장이 조국의 통일과 미래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있다고 생각해 더욱 신뢰한다. 훈장을 주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회담 대화록에는 분명히 드러나지 않았지만 동독대사관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부장은 김 수상에게 최고위급 회담을 제안했다. 보고서는 양측이 그해 회담을 열자고 하지는 않았으나 장래에 회담이 실현될 것으로 봤으며 최고위급 회담은 박 대통령과 김 수상의 만남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주석을 달았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